특정 소액암 정리

특정 소액암 정리|ICD-10 코드, 보험 분류, 지급 특징

특정 소액암은 예후가 비교적 양호하거나 치료 부담이 상대적으로 낮다고 평가되는 암을 말한다.
보험 약관에서는 일반암과 구분하여 진단금을 축소 지급하는 경우가 많으며, 대표적으로 갑상선암 C73, 전립선암 C61, 기타피부암 C44 등을 예로 든다.
다만 분류와 지급 비율은 보험사와 상품마다 상이하므로 반드시 약관을 확인해야 한다.


1) 특정 소액암의 정의

특정 소액암은 통상 발병률은 높지만 사망 위험이 낮고 치료 예후가 좋은 암을 별도 범주로 묶은 개념이다.
일반암 대비 진단금이 10%~30% 수준으로 책정되는 경우가 많으며, 일부 상품은 조건에 따라 동일 지급 또는 추가 감액을 적용하기도 한다.
같은 C코드라도 보험사에 따라 일반암으로 분류하거나 소액암으로 분류할 수 있으므로, 코드만으로 단정하지 말고 약관 정의 조항을 확인해야 한다.

2) 대표 ICD-10 진단코드와 예시

암종 ICD-10 코드 설명 약관상 유의사항
갑상선암 C73 유두암·여포암 등 분화갑상선암이 다수를 차지한다 미세 갑상선암 등 크기 조건으로 감액 또는 제외하는 상품이 있다
전립선암 C61 고령에서 흔하며 진행 속도가 비교적 느린 경우가 많다 일부 보험은 일반암, 일부는 소액암으로 분류하므로 약관 확인이 필수다
기타피부암 C44 기저세포암·편평세포암 등 악성 흑색종을 제외한 피부암을 의미한다 흑색종 C43은 일반암에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방광암(일부) C67 / D09.0 C67은 침윤성 방광암을 의미하며, D09.0은 방광의 제자리암을 의미한다 제자리암 D09.0은 유사암으로 보는 약관이 많다
기타 약관 지정 암 상품별 상이 신장·요관·요도 등 일부 C코드를 소액암으로 지정하는 상품이 있다 동일 코드라도 회사·시기별 분류가 다를 수 있다

참고: 동일한 ICD-10 코드라도 보험사와 상품에 따라 분류가 달라질 수 있다. 약관의 ‘정의’, ‘지급 제외’, ‘감액’ 조항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3) 보험 지급 특징

  • 진단금은 일반암 가입금액 대비 10%~30%로 책정되는 경우가 많다
  • 일부 특약은 특정 소액암도 일반암과 동일하게 지급하도록 설계되기도 한다
  • 재발·전이 시 추가 지급 여부는 특약 및 약관 정의에 따르며, 동일 부위의 재진단 제한이 적용될 수 있다
  • 면책기간, 감액기간, 크기·병기 조건, 조직학적 유형에 따른 예외 조항을 반드시 점검해야 한다

4) 발병 및 치료 특징

  • 정기 검진으로 조기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 수술 단독 또는 국소 치료로 치료가 가능하다
  • 치료 기간과 입원 기간이 비교적 짧으며, 외래 기반 치료 비중이 높다
  • 재발 가능성은 존재하지만 생존율이 높아 장기 추적 관찰이 중요하다
  • 비급여 항목 발생 시 실손 보장과의 결합이 치료비 부담을 줄일 수 있다

5) 가입·청구 체크포인트

  • 약관에서 ‘특정 소액암’으로 지정한 암종과 코드 목록을 우선 확인해야 한다
  • 갑상선암은 크기, 림프절 전이, 다발성 여부에 따른 지급 제한을 두는 상품이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 전립선암은 PSA 수치, 글리슨 점수 등 임상 정보가 청구 심사에 참고될 수 있다
  • 기타피부암은 병리보고서에 조직형과 침윤 여부가 명확해야 분류가 가능하다
  • 청구 시에는 진단서, 병리조직검사 결과, 수술·치료 기록, 영수증 등 기본 서류를 준비해야 한다

요약

특정 소액암은 예후와 치료 부담을 고려해 일반암과 분리한 보험 분류다.
대표적으로 C73, C61, C44 등이 있으며, 통상 일반암 대비 감액 지급을 적용한다.
같은 코드라도 보험사별 분류가 다르므로 약관 확인과 병리 결과의 정확한 코드 기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다음 이전